본문 바로가기
경제관련용어

청년도약계좌 관련한 질문

by 경제란무엇일까 2024. 3. 5.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관련한 질문

 

 

청년도약계좌를 하다보면 다양한 질문이 나오곤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궁금한 질문을 모아서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일시납입을 할 시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을 모두 납입을 해야하나요?

 

x 아닙니다. 먼저 최소한 200만원  까지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 이내에 원하는 금액을 일시 납입할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만기수령금이 1000만원일 경우 600만원을 일시 납입시키고 400만원의 경우 시중은행 타 상품에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2. 일시납입 기간이 지나게 되면 매월 얼마까지나 납입을 할수가 있습니까?

 

일시납입 전환기간이 종료가 되면 매월 최소한 1000원 이상에서 최대 7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게 됩니다. 하지만 만약 중간에 상황이 안되면 납입하지 않게 되더라도 계좌가 유지가 됩니다.

 

3. 일시납입을 하게 되면 청년도약계좌 만기일이 앞당겨지나요?

 

x 틀립니다. 일시납입을 하게 된다면 5년 정도가 지나야 만기 해지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비과세 혜택을 적용 받을 수 있게 하면서 중도 해지이율이 시중은행 3년 만기 적금금리 내외로 수준으로 상향한다고 합니다.  

 

4. 일시납일을 하면 장점이 뭔가요?

 

일시납일을 하게 되면 이자를 좀 더 받으실 수 있습니다.

 

5.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내일저축계좌 중 어떤 것이 좋나요?

 

청년도약계좌가 가장 괜찮은 상품입니다. 현재 윤석열 정부가 아니면 더 이상 만들수가 없는 상품이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경우 연 4프로 가까운 이자율을 제공하면서 연 100만원까지 세금을 우대시켜줍니다. 하지만 연 100만원 초과시에는 연1.2% 세금이 부과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에는 예금 그리가 더 높지만 세금 우대 혜택이 없습니다.

 

6.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재산이 있으면 신청하기 힘든가요?

 

청년도약의 경우 왠만하면 중위소득이 180% 이하이고 총 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이면서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의 경우 가능합니다. 그래서 소득이 충족이 된다면 청년도약계좌 신청도 가능해집니다.

 

7. 청년희망적금 만기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일시 납입을 해야한가요?

 

아닙니다. 일시납입 정보 입력 기간에 일시납입 정보를 입력하지 않는다면 매월 자유납입하는 기본납입 방식으로 개설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 외 청년도약계좌 정보를 알고 싶다면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신청하는 법

목차 청년도약계좌 신청하는 법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으로 19~34세 청년이 달마다 70만원 한도로 적금하게 되면 은행 이자에 더해서 정부가 매달 최대 2만4000원의 ‘기여금’을 보

economy.chosa77.co.kr

 

그 외 다양한 정보

 

'잡다한 것/생활 정보 관련' 카테고리의 글 목록

글 솜씨가 많이 부족하지만 최대한 좋은 정보를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chosa77 _(_@_

chosa77.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