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는 기업이 사회적 가치와 환경적 책임을 고려하여 경영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이는 기업이 이익 추구만을 위한 전통적인 경영 방식에서 벗어나, 환경 보호, 사회적 공헌, 윤리적 경영 등을 중시하는 새로운 관점을 채택함을 의미합니다.
환경적으로는 기업의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으로 노력합니다. 탄소 배출량 감소, 재생 에너지 이용, 폐기물 관리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예시로는 유한양행의 경우 숲 살리기 및 멸종동물 보호와 같은 환경적인 활동을 통해서 많은 소비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고려하고, 공정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려고 합니다. 이는 노동자의 권리 보장, 다양성과 포용을 증진하는 노력, 지역사회 발전을 지원하는 사회적 투자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습니다.
지배구조적으로는 기업 내부의 투명성과 책임감 있는 경영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얻고, 기업 가치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려고 합니다.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 임금 격차의 축소, 부패 방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ESG는 기업이 단기적인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하는 중요한 원칙으로 간주됩니다. 이는 투자자들뿐만 아니라 소비자, 직원, 지역사회 등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적인 관점입니다.
ESG의 특징
1. 포괄성 (Comprehensiveness ) : ESG는 기업의 경영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취합니다. 기업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경영해야 한다는 원칙에 근거합니다.
2. 지속 가능성 (Sustainability ) : ESG는 단기적인 이익 추구를 넘어서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기업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관리함으로써 장기적인 성장과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합니다.
3. 이해관계자 중심 (Stakeholder Focus ) : ESG는 기업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고려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주주뿐만 아니라 고객, 직원, 공급업체, 지역사회 등의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반영하여 경영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 투명성과 보고 (Transparency and Reporting ) : ESG는 기업이 자신의 ESG 활동을 투명하게 보고하고 이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도록 요구합니다. 이는 기업의 투명한 보고서 작성과 정보의 공개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5. 리스크 관리와 기회 탐색 (Risk Management and Opportunity Exploration ) : ESG는 기업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적 리스크를 관리하고, 동시에 이를 기회로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지속 가능한 경영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을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도 있습니다.
6. 투자자 관심 (Investor Interest ) : ESG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점차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ESG 기준에 따라 투자를 결정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기업의 ESG 성과가 투자 수익과 금융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ESG를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천하는 중요한 프레임워크로 만들어 줍니다.
ESG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ESG의 경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소비자의 신뢰를 우선시해서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예시를 들면 빨대를 나무로 바꿔서 환경적으로는 괜찮은 것 같지만 소비자들이 이것을 이용하면서 불편함을 상당히 느끼고 있습니다. 실제로 저의 경우에도 커피를 마시면서 흐물흐물해지면서 먹기도 애매하면서 종이맛이 느껴져서 좀 불편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점에 대해서 환경을 중점으로 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지만 소비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좋은 예시로는 맥도날드의 경우라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맥도날드의 경우 과거에는 영국에서 안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맥도날드에서 ESG 경영을 통해 맥카페 컵을 재활용하고 영국 농업에 투자를 하게 되면서 소비자의 신뢰를 높혔습니다. 그리고 소비자와의 소통을 통해서 원산지나 생산 관련한 정보를 소통하면서 그들에게 신뢰를 통해서 이제는 영국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는 맥도날드가 되었습니다.
이렇듯 ESG의 기본 근간은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외 다양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https://economy777.tistory.com/
'경제관련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4.16 |
---|---|
블록딜이란? (0) | 2024.04.03 |
산재보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3.18 |
청년도약계좌 관련한 질문 (0) | 2024.03.05 |
청년도약계좌 신청하는 법 (0) | 2024.03.05 |